[기고] ‘제주형’영유아 발달지원, 촘촘한 지역사회 연계와 협력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아이들의 무한한 가능성은 따뜻한 관심과 적절한 지원 속에서 비로소 빛을 발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공공의 책무를 다하고자 제주영유아발달지원센터를 설립했습니다.
지난해 10월 개소하여 운영 8개월 차에 접어든 센터는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며 의미 있는 성과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센터는 현재(2025년 5월 말일 기준)까지 영유아의 발달을 점검할 수 있도록 총 350여건의 발달선별검사를 지원하였습니다. 특히, 도외 유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간편하게 발달 점검할 수 있도록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 및 지원하며, 보다 많은 아이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발달상태를 점검받을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또한, 도내 6세 미만 영유아의 양육자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영유아 발달지원 안내서」를 제작 및 배포하였습니다. 이 안내서에는 개월별 발달과제 및 촉진 방법, 발달 지연 영유아가 이용 가능한 제도, 도내 서비스 제공기관 등 실용적인 정보가 수록되어 있으며, E-book으로도 게시되어 도내 어린이집과 유관기관 및 보호자는 정보가 필요할 때, 어디에서나 손쉽게 정보를 수집·활용할 수 있습니다.
센터의 사업 중 가장 의미 있는 성과는 도내 18개 공공‧민간 기관이 함께 뜻을 모아 참여한 「제주형 영유아 발달지원 네트워크 협의체」일 것입니다. 각 기관의 전문성을 결합한 이 시스템은 발달 지연 의심 영유아를 조기 발굴하고 빠르게 진료와 재활 서비스로 연계함으로써 조기 개입 효과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공동사업으로 지역사회에서 영유아 발달 관련 인식개선 및 정보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며 공공-민간 협력의 모범 사례가 되고 있습니다.
올해는 기존 사업에 더하여 다문화가족 지원과 어린이집 방문 발달선별검사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내 사각지대 영유아 지원을 위해 외국어(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리플렛과 다국어 검사지를 지원하고, 협의체 기관인 제주시가족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언어 장벽 없이 발달 점검이 가능하도록 통역 서비스도 제공하는 등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 확대와 노력에 힘입어 센터에 대한 인지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타지역에서의 센터 운영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음은 물론, 센터 누리집은 월평균 4,370명 이상의 방문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에 진행된 부모교육은 200여명이 신청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는 센터가 도내에서 영유아 발달지원 영역에서 중요한 공공 기관으로의 역할로 기능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일 것입니다.
지난 8개월간 센터는 ‘제주 특성에 맞는 촘촘한 발달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며 의미 있는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제주영유아발달지원센터의 사회복지사로서, 현장에서 아이들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가족의 버팀목이 되어주는 공공 서비스 지원의 역할에 깊은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 성과를 발판 삼아 더욱 정진할 것입니다. 제주 영유아와 가족의 행복하고 건강한 미래를 위해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제주영유아발달지원센터의 여정에 지역사회의 변함없는 관심과 따뜻한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출처 : 일간제주 http://www.ilgan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126
지난해 10월 개소하여 운영 8개월 차에 접어든 센터는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며 의미 있는 성과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센터는 현재(2025년 5월 말일 기준)까지 영유아의 발달을 점검할 수 있도록 총 350여건의 발달선별검사를 지원하였습니다. 특히, 도외 유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간편하게 발달 점검할 수 있도록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 및 지원하며, 보다 많은 아이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발달상태를 점검받을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또한, 도내 6세 미만 영유아의 양육자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영유아 발달지원 안내서」를 제작 및 배포하였습니다. 이 안내서에는 개월별 발달과제 및 촉진 방법, 발달 지연 영유아가 이용 가능한 제도, 도내 서비스 제공기관 등 실용적인 정보가 수록되어 있으며, E-book으로도 게시되어 도내 어린이집과 유관기관 및 보호자는 정보가 필요할 때, 어디에서나 손쉽게 정보를 수집·활용할 수 있습니다.
센터의 사업 중 가장 의미 있는 성과는 도내 18개 공공‧민간 기관이 함께 뜻을 모아 참여한 「제주형 영유아 발달지원 네트워크 협의체」일 것입니다. 각 기관의 전문성을 결합한 이 시스템은 발달 지연 의심 영유아를 조기 발굴하고 빠르게 진료와 재활 서비스로 연계함으로써 조기 개입 효과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공동사업으로 지역사회에서 영유아 발달 관련 인식개선 및 정보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며 공공-민간 협력의 모범 사례가 되고 있습니다.
올해는 기존 사업에 더하여 다문화가족 지원과 어린이집 방문 발달선별검사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내 사각지대 영유아 지원을 위해 외국어(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리플렛과 다국어 검사지를 지원하고, 협의체 기관인 제주시가족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언어 장벽 없이 발달 점검이 가능하도록 통역 서비스도 제공하는 등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 확대와 노력에 힘입어 센터에 대한 인지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타지역에서의 센터 운영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음은 물론, 센터 누리집은 월평균 4,370명 이상의 방문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에 진행된 부모교육은 200여명이 신청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는 센터가 도내에서 영유아 발달지원 영역에서 중요한 공공 기관으로의 역할로 기능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일 것입니다.
지난 8개월간 센터는 ‘제주 특성에 맞는 촘촘한 발달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며 의미 있는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제주영유아발달지원센터의 사회복지사로서, 현장에서 아이들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가족의 버팀목이 되어주는 공공 서비스 지원의 역할에 깊은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 성과를 발판 삼아 더욱 정진할 것입니다. 제주 영유아와 가족의 행복하고 건강한 미래를 위해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제주영유아발달지원센터의 여정에 지역사회의 변함없는 관심과 따뜻한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출처 : 일간제주 http://www.ilgan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126
- 다음글[기사]제주영유아발달지원센터 ‧ 제주특별자치도위드피플, 업무협약 체결로 시너지 기대 25.05.28